갤러리이미지
나랏말싸미

   개요   :  한국

   개봉일   :  2019-07-24

   감독   :  조철현

   출연   :  송강호, 박해일, 전미선

   등급   :  전체 관람가



조철현의 [나랏말싸미]는 세종대왕의 한글창제를 그린 영화입니다. 이 이야기를 다룬 작품들은 이전에도 많았죠. 이 영화가 차별점으로 내세운 부분은 신미라는 불교 승려가 창제에서 중요한 역항을 했다는 가설입니다. 이 주장은 꽤 오래 불교계에서 돌고 있었던 모양이에요. 

이를 적극적으로 반박할 생각은 없습니다. 우리가 역사책에서 배운 것들이 꼭 사실이라는 법은 없고 늘 진실 일부는 어딘가에 숨겨져 있기 마련입니다. 세종대왕과 신미의 이야기도 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이런 가설을 진지하게 믿는다면 영화로 만들 수 있는 거고. 그러는 과정 중 우리가 익숙한 세종대왕의 영웅서사가 깨질 수도 있지만 그게 무슨 신성모독인 것도 아니고. 조선초기의 불교와 유교의 갈등은 한 번 다루어볼만한 소재이지 않습니까? 

하지만 이 가설이 영화를 재미있거나 의미있게 만들었나?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 영화는 아직 증명되지 않고 근거도 충분치 않은 가설에 지나치게 기대고 있고 이를 옹호하는 데에 힘을 너무 주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영화는 왜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 정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는지 설명해야 하고 결국 음모론 서사에 빠집니다. 그리고 음모론 서사는 음모론이기 때문에 오히려 믿을 수 없는 경우가 많거든요. 게다가 사대부 세력과 맞서는 주체로 불교를 갖다놓으니 한글의 정치적 의미가 퇴색되는 느낌입니다. 가설이 약하니 새로운 문자를 만드는 과정을 보는 재미도 떨어집니다. 이걸 믿어야 하는지 확신을 못하겠거든요. 

새 이야기가 캐릭터들에 주는 장점도 많지 않습니다. 여기서 가장 재미없는 인물은 신미인데, 익숙한 세종대왕 서사에서 천재성만 뽑아 조선 초기 승려 디폴트 캐릭터에 넣어 따로 만든 것 같은 인물로 뻣뻣하기 짝이 없습니다. 창제 작업 대부분이 신미에게 넘어가니 세종은 위축됩니다. 소헌왕후는 비중이 좀 늘었지만 그게 캐릭터의 장점으로 연결되지는 않아요. 

음모론과 별도로 캐릭터의 대사, 행동, 사고방식이 거슬립니다. 21세기 사람들이 재해석한 조선 초기 사람들이라는 티가 너무 난달까? 퓨전 사극이라면 퓨전이 핑계가 있겠지만 이건 도대체 뭔지 모르겠습니다. 세종과 신미가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어 같은 어휘를 세상에서 가장 당연한 듯 사용할 때는 어이가 없을 정도입니다. 범어라고 쓰면 어린 백성들이 못 알아들을까봐 친절을 베푼 것인가요? 

무엇보다 종교적인 영화입니다. [벤 허]가 기독교 영화인 것보다 더 불교영화예요. 좋은 종교영화가 나온다면 좋은 일이겠지만, 이 영화는 좀 원래의 종교적 메시지가 한글창제의 포장 속에 감추어져 있는 것 같아 신경 쓰입니다. 

이렇게 덜컥 극영화로 만들 소재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가설을 세우고 그를 증명할 증거를 찾고 그를 바탕으로 이론을 대중에게 소개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별다른 증거없이 약한 가설을 바탕으로 실존인물 주인공의 극영화를 만드는 건 어느 기준으로봐도 기만입니다.


출처: 듀나의 영화낙서판